HOME


공지사항 More Wonderful, More Comfortable

안양군포의왕시민햇빛발전사회적협동조합 12월 소식지 '해랑'
  • 안양**의왕
  • 2024-12-04 16:57
  • 206

 

**********  ​조합 소식  **********


1. 신규 조합원

신규 조합원: 고재경님

---------------------------------------------------------------------------------------------------------------------------------------------------------------------------------

2. 2024 안양군포의왕 기후시민학교 교육

11월 5일부터 18일까지 매주 화요일 진행된 2024 안양군포의왕 기후시민학교가 종료되었습니다.
첫 번째 시간에는 녹색전환연구소 이유진 박사님과 국제사회의 기후위기 대응 및 실천사례를 살펴보았고, 
두 번째 시간에는 대기과학자 조천호 박사님과 기후위기 심각성과 탄소중립 실현 방안을, 
마지막 시간에는 경기연구원 고재경 기후환경실장님과 경기도 재생에너지 전환 방향을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정부 및 국제기구의 최신 데이터를 함께 보면서 국제사회의 탄소중립 및 재생에너지 전환 동향과 우리나라 상황을 비교해보았는데요, 
어려웠지만 기후시민으로서 꼭! 알아야 하는 양질의 강의였습니다.   

✔놓치신 강연은 우리조합 유튜브 채널에서 언제든지 보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주제를 함께 배우는 시간을 만들어보려합니다. 내년에 또 만나요~!

- 참가자 한 줄 소감 -

"탄소중립 기후관련에 대해  위기의식을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지역 정책에 대해 알 수 있어서 좋았고탄소중립에 관심있는 사람들과 함께 한 교육이라 좋았습니다.

같이 할 수 있는 활동이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내용은 조금 어려웠지만중앙정부-지자체 단위 정책 형성 과정을 조금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안양시 정책도 알아보면 재밌을 것 같아요"

"재생에너지는 듣고 또 들어야 이해가 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고, 왜 중요한지 알게 되어 좋았습니다.
꾸준한 교육이나 안내가 변화를 만들 것이라 믿어봅니다."





---------------------------------------------------------------------------------------------------------------------------------------------------------------------------------

3. 2024 안양군포의왕 기후위기-탄소중립 교육 후원사업 공모 결과

사회공헌활동으로 우리 1,019명 조합원의 참여로 생산된 햇빛발전수익을 가지고 지역 기후위기-탄소중립 시민교육을 후원합니다.
안양·군포·의왕 지역 시민단체의 신청을 받아, 총 5개 단체를 선정하였습니다.
선정 단체는 2025년 상반기 유아동, 노인, 결혼이주여성 등 다양한 지역사회 구성원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

 

4. 탈석탄·재생에너지 확대 입법 촉구 서명 연대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탈석탄·재생에너지 확대 입법 촉구’ 서명에 기후시민의 희망과 정성을 모아 주세요!
탈석탄과 재생에너지 확대는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지름길이며, RE100이라는 새로운 국제무역기준이 대두되는 현실에서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대안입니다. 
전국의 시민햇빛발전협동조합에서 재생에너지 확대 입법을 위한 비상행동을 시작했습니다. 
국민 누구나가 에너지전환의 주체가 되도록 재생에너지 목표와 확대를 법제화 해야 합니다. 
우리의 의지를 모으는 서명에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탈탄소 재생에너지확대-계통연계 의무화입법 국회의원 챌린지에 이학영 국회부의장(경기도 군포시)과 
민병덕 국회의원(안양시동안구갑-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이 함께해 주셨습니다.




연대서명 홍보 영상 링크 →https://www.youtube.com/shorts/F_HF7P6urXI

==========================================================================================================

11월 발전소 현황




* 발전 총량 추이: 전년 대비↑0.05hr, ↑9.6mwh, 전월 대비↓0.45hr, ↓21.8mwh

==========================================================================================================

지금 탄소중립 ㆍ재생에너지 이슈는?


태양광 절반은 양면·수직형 동서향으로 세우자


기사 보러 가기 → https://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5528

---------------------------------------------------------------------------------------------------------------------------------------------------------------------------------


"지역서 생산한 전기, 지역 소비자에" 한전, 능동적 배전망 사업자로 변신


기사 보러 가기 → https://www.fnnews.com/news/202411261806237057

---------------------------------------------------------------------------------------------------------------------------------------------------------------------------------


밥도, 버스도 공짜! 햇빛이 만든 마을의 기적, 구양리 햇빛두레 태양광 발전소 준공


---------------------------------------------------------------------------------------------------------------------------------------------------------------------------------


'무탄소에너지 원전' 띄우는 한국... 기후총회 현장에선 시큰둥​


---------------------------------------------------------------------------------------------------------------------------------------------------------------------------------

[포토] 500명이 몸으로 쓴 "플라스틱 이제 그만"(2024.11.24)


국제 플라스틱 협약 제5차 정부 간 협상 위원회를 하루 앞두고 환경 운동가들이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서 ‘플라스틱 종식’을 외쳤다.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환경운동연합 활동가들과 시민들이 모인 ‘플라스틱 버스터즈’는 

24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 부산도시공사 아르피나 들머리에서 전날 열린 ‘1123 부산 플라스틱 행진’에서 만든 손팻말을 들고 모였다. 

이들은 해운대소방서를 거쳐 해운대 이벤트 광장까지 2.6㎞를 행진했다.

 



기사 보러 가기 → https://v.daum.net/v/20241124151015757


---------------------------------------------------------------------------------------------------------------------------------------------------------------------------------
지난달 25일부터 부산에서 회의가 열린, 유엔 플라스틱 협약은 결국 무산됐습니다.
가장 큰 쟁점이었던 플라스틱 생산 규제를 두고 산유국 등이 마지막 협상까지 반대입장을 철회하지 않았기 때문인데요. 
회의 개최국인 우리나라의 태도가 소극적이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전글 안양군포의왕시민햇빛발전사회적협동조합 25년 1월 소식지 '해랑'
다음글 2024년 안양군포의왕 기후위기-탄소중립 교육 후원사업 공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