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공지사항 More Wonderful, More Comfortable

[해랑 8월호] 함께 만들어요, 우리동네 시민햇빛발전소! 펀드 모집합니다
  • 안양**의왕
  • 2025-08-08 15:02
  • 118

 ******** 퀴즈 이벤트 ********


  •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필수 에너지원, 태양광!
  • 태양광 발전에 대해 잘못 알려진 사실을 함께 알아보는 태양광 팩트체크를 시작합니다.
  • 매달 정답을 맞추신 조합원 5분을 추첨하여 문화상품권을 선물로 드리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참여기간: 매달 25일까지

결과발표: 다음 달 '해랑'에 공지


퀴즈 참여하기 → https://bit.ly/해랑퀴즈이벤트

힌트는 여기서 확인하세요

 https://www.gg.go.kr/bbs/boardView.do?bIdx=157528154&bsIdx=845&bcIdx=0&menuId=1534015&isManager=false&isCharge=false&page=1


---------------------------------------------------------------------------------------------------------------------------------------------------------------------------------

  •   

​**********  ​조합 소식  **********​​

1. 신규 조합원 소개
♥♡​신규조합원: 김지영, 이해나, 조경은♥♡

  • ---------------------------------------------------------------------------------------------------------------------------------------------------------------------------------

2. 발전소 건립 진행 현황

우리 조합은 올해 총 5개 발전소 건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건립 중인 4개 발전소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군포시민햇빛발전소3호기, 안양시민햇빛발전소5호기는 시민햇빛펀드를 모집 중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축산진흥센터 시민햇빛발전소는 경기도 공유부지 임대를 협의 중입니다.
  • ---------------------------------------------------------------------------------------------------------------------------------------------------------------------------------
  •   

3. 2025 상반기 감사 결과

7월 23일(수) 조합 사무실에서는 2025년 상반기 사업 감사 회의가 열렸습니다.

이영직, 하용녀 감사님이 참석하여 올해 상반기 조합 사업보고, 회계, 조합원 활동 등 전반적인 운영 실태에 대해 감사를 진행해주셨습니다. 

 

긍정적이에요♥

투명하고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한 이사회 운영 및 의사결정 기록 관리
대내외적 제약 속에서도 계획에 따라 안정적인 발전소 설치 및 운영 사업 추진
안정적인 SMP 및 REC 수익 확보, 특히 다양한 방식의 REC 판매계약 체결을 통한 수익 다각화
연대를 통한 입법활동, 정책제안, 발전소 부지발굴 및 계약 체결



보완이 필요해요♥

조합 내 결속력과 정체성 강화를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 참여활동 필요 

조합 활동과 가치를 지역사회 및 유관기관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략 마련


이중 조합원 참여활동 확대는 사무국에서도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지난 3월 대의원 총회에서도 관련 의견을 수렴하였죠. 

그래서 금번 감사 의견에 따라, 사무국에서는 하반기 조합원 활동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인 참여 기반을 차차 마련해보려고 합니다. 


☀​ 관심 있는 조합원분들께서는 교육 주제, 참여 활동에 대해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 ---------------------------------------------------------------------------------------------------------------------------------------------------------------------------------
  •   

4. [모집] 2025년 마지막 시민햇빛펀드 모집! (~9/19 금)

안양군포의왕시민햇빛발전협동조합에서 햇빛발전소 건립을 위한 시민햇빛펀드를 모집합니다.
햇빛발전소는 미래 세대의 안전한 에너지원 확보의 초석을 다지고 탄소 배출을 줄이며 
기후변화에 대응해 오염물질을 감소시켜 깨끗한 환경을 만들기 위한 친환경 미래 에너지입니다. 
☀​신규 발전소 2개 건립을 위해 진행하는 올해 마지막 펀드 모집에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아  래 -
                1. 펀드규모 : 9,800만원
                2. 거치기간 : 3년 (1회 연장가능)
                3. 이 자 율  : 5.5% (세전, 원천세 27.5% 제세 후 1년 단위 지급)
                4. 모집기간 : 25.7.21(월) ~ 25.9.19(금)
                5. 참가자격 : 조합원 중 10만원 이상 출자자
                6. 신청방법 : 펀드약정신청서 작성본을 메일 또는 Fax 제출 후 입금 

                7. 문의연락 : 031-469-9035, 010-9425-9587(안병노 사무국장)

 



펀드신청서 작성하기 → https://bit.ly/2025시민햇빛펀드_모집

---------------------------------------------------------------------------------------------------------------------------------------------------------------------------------
  •   

5. 주민주도 재생에너지 전국화 정책 토론회

7월 29일(화) '주민주도 재생에너지 확대 전국화를 위한 법제도 지원방안 정책토론회(자세히 보기)'가 국회에서 열렸습니다.  
우리 조합 안명균 이사장님은 전국시민발전협동조합 비상행동 입법추진단장을 맡아, 마을공동체의 협동조합을 통해 재생에너지 사업을 추진하고
발전 이익을 주민이 공유하는 '구양리 모델' 법제화를 추진 중입니다.

우리나라는 전국 1천404개 읍·면 가운데 52%가 농촌소멸(499곳)·고위험(227곳) 지역으로,
재생에너지 보급을 확산하고, 농촌·지역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주민주도의 협동조합이 거론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구양리 모델'은 마을공동체의 협동조합을 통해 재생에너지 사업을 추진하고 발전 이익을 주민이 공유하는 모델로,
경기도 여주시 구양리는 전국 최초로 주민이 직접 협동조합을 결성해 태양광발전소를 설치·운영하고 있습니다. 
발생한 수익 전부는 마을 공용 셔틀버스나 식당 운영 등 주민 복지를 위해 사용됩니다.

『주민주도 재생에너지협동조합 운영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을 통해 협동조합의 지원·육성에 관한 포괄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관련 정책의 기본원칙과 방향 제도화가 필요합니다. 특히, 정부의 금융지원 확대는 마을 주도 재생에너지 설치·생산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경감시켜 재생에너지 확산·촉진에 촉매제가 될 것입니다.

대표적인 제정안 반영 사항으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주민주도 재생에너지 전환의 필요성과 시급성을 법안 목적과 정의에 포함할 것 
▲시행계획 수립 조항에 대해 지자체의 의무 규정을 강화할 것 ▲협동조합 대상 설치부지를 제공하는 지자체·공공기관에 혜택을 부여할 것 
▲광역시 단위의 주민주도 재생에너지 협동조합 규정을 신설할 것 등을 제시했습니다. 

​ 재생에너지 전환 촉진을 위해 주민이 에너지 생산 과정에 참여하고, 발전 수익을 지역사회와 공유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에 많은 관심과 지지 부탁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

==========================================================================================================

전소 현황



* 발전량 추이:
 24년 7월 대비 ↑36.8mwh/0.90hr, 6월 대비 ↑4.1mwh/0.03hr

==========================================================================================================
지금 탄소중립 ㆍ재생에너지 이슈는?



태양광 전력 기여도 30% 넘어…폭염에 효과 '톡톡'

기사 보러 가기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367081?sid=101

---------------------------------------------------------------------------------------------------------------------------------------------------------------------------------


“원전 더 안 지어도 된다…국내 재생에너지 시장 잠재량 600TWh”

기사 보러 가기 → https://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1211346.html#ace04ou

---------------------------------------------------------------------------------------------------------------------------------------------------------------------------------

 

[단독]대책 없이 뜨거워지는 원전 냉각수...이대로면 10년 내 국내 원전 8기 멈춘다

기사 보러 가기 → https://www.khan.co.kr/article/202507300600151

---------------------------------------------------------------------------------------------------------------------------------------------------------------------------------


국제사법재판소 "기후변화 대응 안 한 국가 배상 책임"

기사 보러 가기 →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724516942

---------------------------------------------------------------------------------------------------------------------------------------------------------------------------------
전환과 성장 - 수도권 에너지 독식 체제의 위기|49분
( KBS 시사기획 창 510회,  2025.7.8.)
영국은 지난해 석탄발전소를 모두 폐쇄하며 2024년 풍력이 최대 발전원(30%)이 됐습니다. 
네덜란드는 세계 1위 태양광 보급률을 자랑하고, 태양광과 풍력 합계(44.7%)로 영국(35.5%)을 넘어섰습니다. 

반면 한국의 상황은 어떨까요? 
여전히 61개 석탄발전소가 가동 중이며, 화석연료 의존도 60%, 재생에너지는 겨우 10%. 태양광과 풍력만 따지면 겨우 5.8%에 불과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우리보다 좁은 땅, 더 전력 집약적인 산업구조를 가져 에너지 전환이 더 어려워 항상 뒤처졌던 타이완은 
2년 전부터 태양광과 풍력 비율에서 대한민국을 추월했으며 이제는 훌쩍 앞서 나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에너지 전환은 왜 이렇게 늦었을까요? 자원이 없어서? 돈이 없어서? 기술이 없어서?
재생에너지 전환의 숨겨진 장애물, 수도권 에너지 집중 문제를 다룬 영상을 소개합니다.

 

 

---------------------------------------------------------------------------------------------------------------------------------------------------------------------------------

 

전원만큼 전력계통 안정성 중요하다[포럼]

기사 보러 가기 → https://www.munhwa.com/article/11502817

지난 4월 스페인에서 발생한 대정전 사태를 기억하시나요?
15기가와트 전기가 순식간에 전력망에서 사라지면서 10시간 이상 정전이 지속됨에 따라, 인터넷과 대중교통 시스템 등 주요 인프라가 마비되고 국가비상사태가 선포되었습니다. 
스페인에서 전력을 수입하는 인근 국가 포르투갈도 연쇄적 피해를 보면서 피해규모는 최대 7조 3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약 6000만 명이 불편함을 겪었죠. 

정전 이후 원인을 둘러싸고 기후 이상설, 사이버 공격설 등 온갖 추측이 난무했지만, 
스페인 정부는 공식적으로 “전력망 내 충분한 전압 제어 능력이 부족해 전력망 시스템이 붕괴됐다”고 발표하며 과전압 현상에 주목했습니다. 
과전압이란, 정격 전압보다 전압이 높아 장비에 과부하가 걸리는 현상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대정전 당일, 전기는 부족하기는 커녕 오히려 넘쳐났다고 해요. 
스페인은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용량 비중이 전체의 66%에 육박하여 대정전 발생 전에는 하루 동안 100% 재생에너지만으로 전력 수요를 충족했던 날도 있었습니다. 

스페인 정부의 정전 원인 보고서가 나왔음에도, 국내 일부 언론과 전문가들은 계통 불안정이란 키워드로 재생에너지가 문제고, 기존의 화력발전, 핵발전이 필요하다 주장합니다. 
그러나, 발전원의 다변화, 계통 신뢰도 확보, 시장 유연성 확대 등 전력 전환의 과제 앞에서, 재생에너지 탓만 하는 인식은 시대착오에 불과합니다. 
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전력망 확충과 안정성 강화 투자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교훈을 얻어야 합니다.

☀​​스페인 정전 사태에 대한 전문가 견해, 관련 기사를 함께 보고 싶다는 조합원님이 계셨어요.
     지난 5월 해랑에서 전해드린 전문가 의견을 한번 더 소개합니다.
     해랑에서 다뤘으면 하는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 의견 주세요!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안양군포의왕시민햇빛발전사회적협동조합 7월 소식지 '해랑'